맨위로가기

원희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희는 후한 말,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로, 원소의 차남이다. 원소 사후 동생 원상에게 협력했으나 조조에게 패하여 오환족, 요동으로 피신했다. 요동의 공손강에게 살해되었으며, 그의 아내 견씨는 조조의 아들 조비의 황후가 되었다. 원희의 자손은 당나라 시대에 재상 원서기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7년 사망 - 곽가
    곽가는 후한 말 조조를 섬긴 전략가로, 뛰어난 통찰력으로 조조의 주요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3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 207년 사망 - 장수 (후한)
    장수는 후한 말기의 군벌로, 량주 반란을 진압하여 명성을 얻고 장제의 세력을 계승하여 조조와 대립하다가 항복하여 관도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으며 오환 정벌 중 사망하였다.
  • 여남 원씨 - 원성
    원성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4대 삼공을 배출한 명문가 출신이며, 좌중랑장을 지냈고, 강직한 성품과 뛰어난 언변으로 명성이 높았다.
  • 여남 원씨 - 원소 (후한)
    원소는 후한 말 군벌로, 명문가 출신으로 반동탁 연합군의 맹주였으나 조조와의 관도 대전에서 패배하여 세력이 몰락했다.
  • 원소와 주변 인물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원소와 주변 인물 - 원성
    원성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4대 삼공을 배출한 명문가 출신이며, 좌중랑장을 지냈고, 강직한 성품과 뛰어난 언변으로 명성이 높았다.
원희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원희
원어 이름袁熙
로마자 표기Yuan Xi
현혁(顯奕) / 현옹(顯雍)
생애
출생알 수 없음
사망207년
사망 장소랴오양시, 랴오닝성
가족 관계
아버지원소
형제원담 (형)
원상 (동생)
배우자견 부인
관직
관직명유주자사 (幽州刺史)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207년
군주헌제
기타
직업군사 장군 및 정치가

2. 생애

원희는 원소(袁紹)의 차남으로, 원상(袁尙)이 후계자가 될 낌새를 보이자 저수(沮授)는 원담(袁譚)을 청주자사로 내보내는 것에 대해 간언했으나, 원소는 오히려 원희도 유주자사로 임명하여 지방을 다스리게 했다.[4] 원희는 원소가 급사한 이후 원상의 계승에 대해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었던 원담이나, 표면상으론 원상을 따르면서도 은밀히 야심을 품고 있던 고간과는 달리 원상의 승계를 불복하거나 특별히 문제를 만들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원상에게 협조적이었다.

204년 원상이 조조(曹操)와 원담에게 패하여 도망쳐 온 것을 받아들였으나, 205년 1월, 원희의 부하 장수 초촉(焦触)과 장남(張南)이 원희를 배반하여 공격했기 때문에 원소에게 우호적이었던 오환족의 답돈(蹋頓)에게 피신해야 했다.[4]

207년 조조가 오환을 공격해 오자 원상 형제는 오환족과 함께 조조군에 맞섰으나 결국 대패하여 요동으로 달아났다.[4] 요동을 지배하고 있던 공손강(公孫康)과는 일단은 우호적인 관계였으나, 원상 형제가 요동에 있는 시점에서는 오히려 경계의 대상이었으므로 결국 살해되었다.[4] 원상과 원희의 머리는 오환 지도자들의 머리와 함께 조조에게 보내졌다.[4]

원희가 죽은 후, 그의 아내였던 견씨는 조조의 아들 조비의 황후가 되어 문소황후로 봉해졌다.

2. 1. 원소의 차남

저수(沮授)는 원소(袁紹)가 원상(袁尙)을 후계자로 삼으려는 낌새를 보이자 원담(袁譚)을 청주자사로 내보내는 것에 대해 간언했으나, 원소는 오히려 원희도 유주자사로 임명하여 지방을 다스리게 했다.[4] 원희는 원소가 급사한 이후 원상의 계승에 대해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었던 원담이나, 표면상으론 원상을 따르면서도 은밀히 야심을 품고 있던 고간과는 달리 원상의 승계를 불복하거나 특별히 문제를 만들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원상에게 협조적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204년 원상이 조조(曹操)와 원담에게 패하여 도망쳐 온 것을 받아들였으나, 205년 1월, 원희의 부하 장수 초촉(焦触)과 장남(張南)이 원희를 배반하여 공격했기 때문에 원소에게 우호적이었던 오환족의 답돈(蹋頓)에게 피신해야 했다.[4]

207년 조조가 오환을 공격해 오자 원상 형제는 오환족과 함께 조조군에 맞섰으나 결국 대패하여 요동으로 달아났다.[4] 요동을 지배하고 있던 공손강(公孫康)과는 일단은 우호적인 관계였으나, 원상 형제가 요동에 있는 시점에서는 오히려 경계의 대상이었으므로 결국 살해되었다.[4]

2. 2. 유주 자사 시절

원소가 원상을 후계자로 삼으려 하자, 저수원담을 청주자사로 내보내는 것에 반대했지만, 원소는 원희도 유주자사로 임명하여 지방을 다스리게 했다.[4] 원희는 원소 사후 원상의 계승에 반기를 든 원담이나 고간과 달리, 원상에게 협조적이었다.

204년 원상이 조조와 원담에게 패하여 도망쳐 오자 원희는 그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205년 1월, 원희의 부하 장수 초촉장남이 원희를 배반하고 공격하여, 원희는 오환족의 답돈에게 피신해야 했다.[4]

2. 3. 최후

204년 원상조조원담에게 패하여 도망쳐 오자 원희는 그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205년 1월, 원희의 부하 장수 초촉장남이 원희를 배반하고 공격하여, 원소에게 우호적이었던 오환족의 답돈에게 피신해야 했다.[4]

207년 조조가 오환을 공격해 오자 원상 형제는 오환족과 함께 조조군에 맞섰으나 대패하여 요동으로 달아났다. 요동을 지배하고 있던 공손강은 처음에는 우호적인 관계였으나, 원상 형제가 요동에 있는 시점에서는 경계의 대상이었으므로 결국 그들을 살해하였다.[4] 원상과 원희의 머리는 오환 지도자들의 머리와 함께 조조에게 보내졌다.[4]

3. 삼국지연의에서의 원희

창정 전투에서 유주 군사 6만을 이끌고 아버지 원소를 도왔으나, 조조군에게 패하여 원소를 호위하며 후퇴하다 화살에 맞아 부상당했다. 기록에 의하면 원담원상여양 전투에 참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지연의에서는 원희와 고간까지 같이 싸운 것으로 나온다.[1]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원희는 "총명하지만 유약하고 우유부단하다"고 묘사되었는데, 이는 "용감하지만 충동적이고 폭력적"이라고 묘사된 그의 형 원담과는 대조적이다. 관도 전투 이후, 원희와 그의 동생 원상의 연합군은 조조와의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후, 그는 원상과 함께 요동으로 도망쳐 관리 공손강과 함께 머물면서 언젠가 공손의 군대를 차지하고 조조에게 복수할 희망을 품었다. 그러나 그들은 조조의 세력에 합류하려는 공손강에게 배신당했고, 공손강이 설치한 매복에 의해 살해되었다.[2]

삼국지연의』에서는 자(字)가 현혁(顕奕)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버지로부터 유약하고 쓸모없다는 평을 받았지만, 관도 전투에서는 패배한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유주의 군대를 이끌고 나타난다. 그러나 창정 전투에서 조조 군에게 패배하여 고간과 함께 화살에 맞는다. 원소 사후의 전개는 사서의 기록과 거의 동일하다.[3]

4. 가계

원희의 가계도


당나라재상 원수지는 원희의 후손이었다.[1]

5. 원희를 섬긴 사람들


참조

[1] 서적 11th month of the 12th year of the ''Jian'an'' era, per Emperor Xian's biography in ''Book of the Later Han''. The month corresponds to 7 Dec 207 to 5 Jan 208 in the Julian calendar.
[2] 서적 [[ちくま学芸文庫]]版は「顕突」となっているが、誤り。
[3] 서적 袁買は袁煕の弟という説の他に、袁尚の兄の子という説もある。その場合は、袁煕にとって子・甥のいずれであるかは不明である。
[4] 서적 『後漢書』袁紹伝によると、これは直後に2人を斬る公孫康の言葉である。
[5] 서적 《[[삼국지]](三國志)》에는 '''현혁'''(顯奕), 《[[후한서]](後漢書)》에는 '''현옹'''(顯雍)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는 삼국지의 기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혁'''이라고 알려져 있다. [[청]](淸)의 사학자 혜동(惠棟)과 반미(潘眉)는 '''현혁'''이 원희의 자이고 '''현옹'''은 [[원매 (후한)|원매]](袁買)의 자일 것이라 추측하였으나, 사실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